반응형
안 하다(O) 않하다(x) 않음(O) 않다(O) 안음(X) 안 돼요(O) 안 되요(X)
기본 원리는 간단하다.
않음(O) 안함(O)
ㅎ이 겹치면 안 되는 것이다.
돼요와 되요의 경우에는
해요와 하요로 비교해보면 된다.
우리는 일반적으로 해요라는 말은 쓰지만 하요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.
돼요=해요, 되요=하요
해요가 적합한 문맥에서는 돼요를 쓰고
'하'가 들어가야 할 부분에서는 '되'를 쓰면 된다.
따라서 됀다(X), 핸다(X), 된다(O), 한다(O) 이렇게 구분할 수 있다.
반응형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RKT 필라르 라지 G10 폴딩 나이프 개봉기(플리퍼, 8cr13mov, 썸홀) (0) | 2022.01.24 |
---|---|
LG세탁기 세탁조 청소 서비스 신청 후기(모델명:TS16VG) (0) | 2022.01.04 |
임신 중 맞을 수 있는 예방접종(산부인과 안내판) (0) | 2021.12.31 |
ipScan NAC - 컴퓨터에 이런 게 깔렸네요. (0) | 2021.12.26 |
오창 제이원호텔 32층 스카이라운지 음식 사진 (1) | 2021.12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