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

안 하다(O) 않하다(x) 않음(O) 않다(O) 안음(X) 안 돼요(O) 안 되요(X) 됀다(X), 된다(O)

by 통합메일 2022. 1. 1.
반응형

안 하다(O) 않하다(x) 않음(O) 않다(O) 안음(X) 안 돼요(O) 안 되요(X)

 

기본 원리는 간단하다.

 

않음(O) 안함(O)

ㅎ이 겹치면 안 되는 것이다.

 

돼요와 되요의 경우에는

 

해요와 하요로 비교해보면 된다.

 

우리는 일반적으로 해요라는 말은 쓰지만 하요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.

 

돼요=해요, 되요=하요

 

해요가 적합한 문맥에서는 돼요를 쓰고

 

'하'가 들어가야 할 부분에서는 '되'를 쓰면 된다.

 

따라서 됀다(X), 핸다(X), 된다(O), 한다(O) 이렇게 구분할 수 있다.

반응형

댓글